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백트래킹
- ☆
- 자바공부
- 자바의정석연습문제풀이
- 동적계획법
- 자바의정석연습문제
- 알고리즘공부
- 무료코딩강의
- java
- 무료개발강의
- 백준자바
- 백준9단계
- dp
- 브루트포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개발공부
- ★
- 자바의정석
-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
- BFS
- 코딩공부
- 백준단계별로풀어보기
- dfs
- 자바개념
- Java개념
- 백준
- 빅오 표기법
- 백준알고리즘
- Today
- Total
더 많이 실패하기
공부 99일차: 백준 12871번 무한 문자열 자바 java 본문
12871 무한 문자열
https://www.acmicpc.net/problem/12871
12871번: 무한 문자열
첫째 줄에 s, 둘째 줄에 t가 주어진다. 두 문자열 s와 t의 길이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www.acmicpc.net
백준 12871번 문제 무한 문자열
문제
과정 생각해보기 & 오답
1) 오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 s = br.readLine();
String t = br.readLine();
int result = 0;
if(s.contains(t) || t.contains(s)) {
result = 1;
}
bw.write(String.valueOf(result));
bw.flush();
bw.close();
}
}
|
cs |
contains를 사용했으나 "틀렸습니다" 판정 받은 코드
단순히 서로를 포함하고 있으면 무한번 붙인 문자열이 같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틀렸다
다시 생각해보니까 당연했다
예를 들어,
s = abcdefg
t = abcdefghi
일 때 t는 s를 포함하고 있지만 무한번 반복된 문자열은
f(s) = abcdefgabcdefgabcdefgabcdefg..
f(t) = abcdefghiabcdefghiabcdefghiabcdefghi..
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대 길이가 50이므로, 50자가 넘는 첫 번째 순간까지 서로 포함하거나 같으면 정답일 거라고 생각하여
구현해봤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굳이 50까지 가지 않더라도, 두 수 길이의 최소공배수까지만 반복하면 무한히 반복된 문자열이 같을 것이다
즉,
1) 최대 길이인 50과 같거나 커질 때까지 반복
2) 최소공배수만큼 반복
정답 인정 코드
1) 50과 같거나 넘었을 때 비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 s = br.readLine();
String t = br.readLine();
int result = 0;
if(f(s).contains(f(t)) || f(t).contains(f(s))) {
result = 1;
}
bw.write(String.valueOf(result));
bw.flush();
bw.close();
}
public static String f(String str) {
while(true) {
str = str.concat(str); //str에 str 붙이기
if(str.length() >= 50) { //str의 길이가 50이거나 넘으면
break; //반복문 종료
}
}
return str;
}
}
|
cs |
위에서 적은대로 길이가 50이 되거나 넘으면 멈춰서 비교하는 코드
2) 최소공배수만큼만 반복하는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 s = br.readLine();
String t = br.readLine();
String strS = s;
String strT = t;
int result = 0;
if (s.length() != t.length()) {
int len = lcm(s.length(), t.length());
while (strS.length() != len) {
strS += s;
}
while (strT.length() != len) {
strT += t;
}
}
if(strS.equals(strT)) {
result = 1;
}
bw.write(String.valueOf(result));
bw.flush();
bw.close();
}
// 최소공배수를 구하기 위한 최대공약수 메서드
public static int gcd(int x, int y) {
if(y == 0)
return x;
else
return gcd(y, x%y);
}
// 최소공배수
public static int lcm(int x, int y) {
return x*y/gcd(x,y);
}
}
|
cs |
concat을 쓰지 않아도 +만으로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었다
사실 result 변수도 딱히 필요치 않았던 것 같다
둘 다 시간은 비슷비슷했다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 101일차: 백준 11047번 동전 0 자바 java (0) | 2022.11.08 |
---|---|
공부 100일차: 백준 11437번 LCA 자바 java ☆실패 (0) | 2022.11.07 |
공부 98일차: 백준 2004번 조합 0의 개수 자바 java (0) | 2022.11.05 |
공부 97일차: 백준 1676번 팩토리얼 0의 개수 자바 java (0) | 2022.11.04 |
공부 96일차: 백준 6588번 골드바흐의 추측 자바 java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