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백준

백준 10799번 쇠막대기 자바 Java (☆공부 234일차)

김발자~ 2023. 3. 21. 18:46
반응형

10799 쇠막대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

 

10799번: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

www.acmicpc.net

 

 

 


백준 10799번 문제 쇠막대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256 MB 41492 26471 19610 64.367%

문제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1.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2.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000이다.

출력

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

예제 출력 1

17

예제 입력 2

(((()(()()))(())()))(()())

예제 출력 2

24

 

 

 


과정 생각해보기


 

 

https://gimbalja.tistory.com/162

 

공부 84일차: 백준 10799번 쇠막대기 자바 Java

10799 쇠막대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 10799번: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gimbalja.tistory.com

 

4달 전에 풀었던 문제
 
1. 기존 풀이

그림에서 표시한 것처럼

1. (로 쇠막대가 시작될 때마다 스택에 추가해주고

2. 레이저를 쏘면 스택 사이즈만큼 더하고

3. )으로 쇠막대가 끝날 때마다 +1을 해주면 된다

 
2. 새 풀이
스택을 선언할 필요 없이 정수로 처리해준다(원리는 같다)
 
 
 

정답 인정 코드


 

1. 기존 풀이(스택 이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String str = br.readLine();
        int sum = 0;
        
        for(int i = 0; i < str.length(); i++) {
            if(str.charAt(i) == '(') {
                stack.push(str.charAt(i));
            }else {    //) 라면
                if(str.charAt(i-1== '(') {    // 레이저
                    stack.pop();
                    sum += stack.size();
                }else {    // 그냥 쇠막대기 끝남
                    stack.pop();
                    sum += 1;    // 조각 1개 추가
                }
            }
        }
        
        bw.write(sum+"");
        bw.flush();
        bw.close();
        br.close();
    }
 
}
 
cs

 

2. 새 풀이(정수 이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 str = br.readLine();
        int stack = 0;
        int sum = 0;
        
        for(int i = 0; i < str.length(); i++) {
            if(str.charAt(i) == '(') {
                stack++;
            }else {    //) 라면
                if(str.charAt(i-1== '(') {    // 레이저
                    stack--;
                    sum += stack;
                }else {    // 그냥 쇠막대기 끝남
                    stack--;
                    sum += 1;    // 조각 1개 추가
                }
            }
        }
        
        bw.write(sum+"");
        bw.flush();
        bw.close();
        br.close();
    }
 
}
 
cs

 

 

 


가장 위가 정수

두 번째가 기존의 스택 풀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