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
- BFS
- Java개념
- 개발공부
- 백준자바
- ★
- 알고리즘공부
- 자바의정석
- dp
- java
- 백준알고리즘
- 빅오 표기법
- 동적계획법
- 자바의정석연습문제풀이
- 백준단계별로풀어보기
- 자바개념
- 자바공부
- 자바
- dfs
- 무료개발강의
- 브루트포스
- 무료코딩강의
- 알고리즘
- 백트래킹
- 코딩공부
- 자바의정석연습문제
- 백준9단계
- 백준
- 시간 복잡도
- Today
- Total
더 많이 실패하기
공부 215일차: 백준 24313번 알고리즘 수업 - 점근적 표기 1 자바 java 본문
24313 알고리즘 수업 - 점근적 표기 1
https://www.acmicpc.net/problem/24313
24313번: 알고리즘 수업 - 점근적 표기 1
f(n) = 7n + 7, g(n) = n, c = 8, n0 = 1이다. f(1) = 14, c × g(1) = 8이므로 O(n) 정의를 만족하지 못한다.
www.acmicpc.net
백준 24313번 문제 알고리즘 수업 - 점근적 표기 1
문제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512 MB | 1402 | 454 | 389 | 32.634% |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점근적 표기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알고리즘의 소요 시간을 나타내는 O-표기법(빅-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O(g(n)) = {f(n) | 모든 n ≥ n0에 대하여 f(n) ≤ c × g(n)인 양의 상수 c와 n0가 존재한다}
이 정의는 실제 O-표기법(https://en.wikipedia.org/wiki/Big_O_notation)과 다를 수 있다.
함수 f(n) = a1n + a0, 양의 정수 c, n0가 주어질 경우 O(n) 정의를 만족하는지 알아보자.
입력
첫째 줄에 함수 f(n)을 나타내는 정수 a1, a0가 주어진다. (0 ≤ |ai| ≤ 100)
다음 줄에 양의 정수 c가 주어진다. (1 ≤ c ≤ 100)
다음 줄에 양의 정수 n0가 주어진다. (1 ≤ n0 ≤ 100)
출력
f(n), c, n0가 O(n) 정의를 만족하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7
8
1
예제 출력 1
0
f(n) = 7n + 7, g(n) = n, c = 8, n0 = 1이다. f(1) = 14, c × g(1) = 8이므로 O(n) 정의를 만족하지 못한다.
예제 입력 2
7 7
8
10
예제 출력 2
1
f(n) = 7n + 7, g(n) = n, c = 8, n0 = 10이다. 모든 n ≥ 10에 대하여 7n + 7 ≤ 8n 이므로 O(n) 정의를 만족한다.
과정 생각해보기
https://gimbalja.tistory.com/371
시간 복잡도에 대해 정리해둔 포스팅
이 문제는 두 가지 방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1. 브루트 포스처럼 for문을 사용하여 모든 경우를 다 계산해보기
문제에서 요구하는 게
1
2
|
// f(n) <= c * g(n)
a1*n + a0 <= c*n
|
cs |
라는 조건을 만족하면 되는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그대로 반복문을 돌린다 (모든 경우의 수를 확인해보는 것)
1
2
3
4
5
6
|
for(int n = n0; n < 101; n++) {
if(a1*n + a0 > c*n) {
answer = 0;
break;
}
}
|
cs |
만족하지 않으면 0으로 answer값을 바꾸고, 즉시 반복문을 탈출하면 된다
2. 공식으로 간단하게 표현하기
1
2
|
(a1 * n0 + a0 <= c * n0) || (c >= a1) -> 조건 만족 => 1
(a1 * n0 + a0 > c * n0) || (c < a1) -> 조건 불만족 => 0
|
cs |
위의 반복문 if에서 n자리를 n0으로 바꾸고, c가 a1보다 크거나 같은지 아닌지에 따라 갈린다
정답 인정 코드
1) 풀어쓰기(for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answer = 1;
int a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n0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int n = n0; n < 101; n++) {
if(a1*n + a0 > c*n) {
answer = 0;
break;
}
}
bw.write(answer+"");
bw.flush();
bw.close();
br.close();
}
}
|
cs |
2) 공식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answer = 1;
int a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c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n0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a1 * n0 + a0 > c * n0) || (c < a1)) {
answer = 0;
}
bw.write(answer+"");
bw.flush();
bw.close();
br.close();
}
}
|
cs |
그때 공식을 사용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걸 깨달았기 때문에 공식을 어떻게 도출할지 생각해본 뒤 답안을 제출했다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 217일차: 백준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 자바 java (0) | 2023.03.04 |
---|---|
공부 216일차: 백준 1339번 단어 수학 자바 java (0) | 2023.03.03 |
공부 214일차: 백준 24267번 알고리즘 수업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6 자바 java (0) | 2023.03.01 |
공부 213일차: 백준 24266번 알고리즘 수업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5 자바 java (0) | 2023.02.28 |
공부 212일차: 백준 24265번 알고리즘 수업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4 자바 java (0) | 2023.02.27 |